잔대
잔대
국화목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발견되며 꽃과 뿌리를 이용한 전통적인 의학 및 식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입니다
잔대는 줄기가 곧게 서며 높이는 50~100cm 정도이고 꺾으면 흰색의 액이 나온다.
잔대 생물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국화목과: 초롱꽃과 속: 잔대속 종: 잔대 (A. triphylla)
학명: Adenophora triphylla
목차
1잔대
2.잔대 효능
3잔대 성질
4.잔대 성분
5.잔대 재배 및 환경
1.전대
사삼이라고도 불린다. 인삼, 현삼, 단삼, 고삼과 더불어 우리나라 5대 삼 중 하나
잔대(Adenophora tiphylla var. japonica HARA)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전국 어디에서나 자생하며, 특히 햇볕이 잘 드는 고산지역의 습지에서 잘 자랍니다.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 식물이지만 봄에는 연한 잎을 나물로 섭취하기도 하며, 생으로 섭취하여도 아리지 않고 단맛이 돌아 과거에는 구황식물로 쓰이기도 했습니다.
2.잔대효능
강장, 청열 거담, 기음 부족, 폐열의 해수, 음허 해수 등[2]에 효과가 있다. 산도라지와 같이 기관지 질환을 예방하고 증상을 개선시킨다.
잔대는 우리 몸에 축적된 백가지 독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어 현대인들에게 유용한 식물입니다.
기침, 가래: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합니다.
강장, 기관지염, 천식, 폐렴: 호흡기 관련 질환에 효과가 있습니다.
이뇨: 방광 기능을 도와줍니다.
고혈압, 당뇨, 다이어트: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약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3.잔대 성질
잔대는 맛이 달고 조금 쓰며 성질은 서늘합니다. 뿌리를 말린 것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가루로 내어 먹을 수 있습니다.
4.잔대 성분
사포닌: 항염 작용 및 면역 체계 강화에 도움
무기질, 아미노산, 지방산, 당류: 잔대 뿌리에 함유된 주요 영양 성분들로, 항산화 효과에 기여
5.잔대 제배 및 한경
잔대 종자는 명발아성 종자이기 때문에 흙을 덮게 되면 발아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파종이 완료된 후에는 종자 위에 흙을 덮지 말고 피복물을 덮어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피복재료 종류는 볏짚, 차광망, 부직포 등 다양하지만 잔대 육묘에 가장 적합한 피복물은 삼색부직포입니다.
삼색부직포는 보통 토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공사장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자재입니다.
구조는 얇은 폴리에틸렌 망에 솜 재질의 부직포가 얇게 부착되어 있어 통기성이 좋으며 보온 효과가 탁월합니다. 또한 부직포가 수분을 유지하고 광 투과율이 높아 명발아성 종자인 잔대의 초기 발아에 적합한 자재로 판단됩니다
.잔대 육묘시 피복 자재별 출현 특성을 조사한 결과 삼색부직포 피복 처리구의 출현율이 87%, 입모율이 82%로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종근 수량은 무피복 대비 115% 높은 특성을 보여 가장 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