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부분 탄소 배출량은 얼마나 되나

농업 부분 탄소 배출은
농업 부분 탄소배출은
농업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온실가스는 지구의 온난화를 촉진하고,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입니다.
따라서 농업부분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은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지구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과제입니다.
농업 부분 탄소 배출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벼 재배: 논에서 물을 대기하면서 메탄이 발생합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가스
효과가 강합니다.
2.가축 사육: 가축의 장내발효로 인해 메탄이 발생하고, 가축분뇨로 인해 아산화질소가
발생합니다. 아산화질소도 온실가스 효과가 강합니다.
3.비료·농약 사용: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면 토양에서 아산화질소가 발생합니다.
4.또한 비료와 농약의 제조과정에서도 온실가스가 발생합니다.
농업부분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정밀농업: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을 활용하여 작물의 생육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적정 시기에 적절한 양의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는 농업입니다. 정밀농업은 농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비료와 농약의 낭비와 오염을 줄여줍니다.
2.친환경농업: 유기농, 자연농, 무농약 등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는 농 업입니다. 친환경농업은 토양과 생태계의 건강을 유지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킵니다.
3.저메탄사료: 메탄 저감제나 미생물제제 등을 첨가하여 가축의 메탄 배출량을 줄이는 사료입 니다. 저메탄사료는 가축의 성장률과 사료효율도 개선시켜줍니다.
4.가축분뇨 자원화: 가축분뇨를 에너지화나 정화처리하여 재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에너지화는 가축분뇨를 바이오가스나 바이오디젤 등으로 변환하는 과정이고, 정화처리는 가축분뇨를 액상비료나 고형비료로 제조하는 과정입니다. 가축분뇨 자원화는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수급과 비료 공급에 기여합니다.
농업부분 탄소배출을 줄이는 방법
농업부분 탄소배출을 줄이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밀농업, 친환경농업, 저메탄사료, 가축분뇨 자원화 등이 있습니다 이들 방법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효과적인 방법은 농업의 형태와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토양의 탄소 저장 능력을 높이고, 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줄이고, 가축의 메탄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탄소배출을 줄이는 핵심입니다.
1.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키고, 경운을 최소화하고,
2.덮개작물을 심고, 돌려짓기를 하는 등의 무경운 농법 (no-till farming)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3.무경운 농법은 토양의 구조와 생태계를 유지하고, 토양 속에 탄소를 고정시킵니다.
4.또한,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줄여서 아산화질소와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감소시킵니다.
미국에서는 무경운 농법을 널리 활용하고 있으며,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를 통해 무경운 농법을 적용한 농부들에게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무경운 농법을 도입하기 위한 연구와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정부는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 참여 농가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등의 지원 정책을 마련 하고 있습니다.
무경운 농법은 탄소 중립 실현과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작은 경지 규모와 시스템화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적절한 기술과 장비를 개발하고, 재배할 수 있는 작물과 토양 조건을 연구해야 합니다.
무경운 농법이란?
흙을 갈지 않고 작물을 재배하는 농법입니다. 이는 토양의 구조와 생태계를 유지하고, 토양 속에 탄소를 고정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무경운 농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1.준비 단계: 흙의 유기물 함량을 높이기 위해 거친 유기물 (산에 검불, 썩은 나뭇가지, 볏짚, 왕겨 등)과 잘 삭은 거름 (퇴비, 왕겨 훈탄, 발효 시킨 쌀겨와 깻묵 등)을 넣고 흙이랑 잘 섞어 줍니다. 이렇게 3-4년 동안 꾸준히 땅을 바꾸어 갑니다.
2.심기 단계: 작물을 심을 때는 흙을 갈지 않고, 작물의 뿌리에 맞는 구멍을 파거나, 씨를 직접 뿌립니다. 작물의 종류와 수확량에 따라 적절한 간격과 깊이를 유지합니다.
3.관리 단계: 작물의 생육에 방해가 되지 않는 잡초는 함께 키웁니다. 잡초의 뿌리는 흙의 침식을 막고 공극을 만들며 미생물의 활동을 돕고 탄소를 흙 속에 저장합니다. 그러나 작물보다 잡초가 더 크면 광합성을 방해하므로 적당한 때에 뿌리와 가까운 줄기를 베어서 그 자리에 덮어줍니다.
4.멀칭 단계: 작물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두둑은 잡초가 없어야 하므로, 낙엽, 톱밭, 왕겨, 볏짚 등의 유기물 멀칭으로 잡초를 막고, 많은 비가 내려도 완충 작용으로 공극이 막히지 않게 합니다. 덮었던 유기물은 조금씩 분해되어 흙 속의 양분으로 순환됩니다.
5.수확 단계: 작물을 수확할 때는 가능한 한 뿌리를 그대로 남겨두거나, 뿌리에서 밑둥을 잘라서 그 자리에 덮어줍니다. 이렇게 하면 흙 속의 탄소와 양분이 유지되고, 다음 작물의 생육에 도움이 됩니다.
무경운 농법은 탄소 중립 실현과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작은 경지 규모와 시스템화 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적절한 기술과 장비를 개발 하고, 재배할 수 있는 작물과 토양 조건을 연구 해야 합니다
'탄소 배출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재생에너지란, 태양광 ,태양열,풍력 (6) | 2023.09.02 |
---|---|
녹색 건축물 이란? 녹색 건축물의 효과 (8) | 2023.09.01 |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 (2) | 2023.07.13 |
친환경 부표 인증 기준 지원 사업 해양 부표 (3) | 2023.01.29 |
배출 권 거래 제 참여 업체 탄소 중립 설비 지원한다 (0) | 2023.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