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궁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당귀과의 약초 이다 이 식물은 말려서 한약재로 쓰는데, 그 중에서도 보약의 재료로 많이 들어가는 것들 중 하나로서 혈행을 원활하게 하는 정도의 효능이 있다. 하지만 특유의 정유성분 때문에 구역질이 날 수 있어 대개 법제를 해서 사용 한다. 자세한건 한의사한테 문의 해야 한다.
천궁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미나리목
과: 미나리과
속: 기름당귀속
종: 천궁
목자
1.천궁 내용
2.천궁 종류
3.천궁 효능
4.천궁 관리 및 번식
5천궁 기후 조건 및 재배 지역
1.천궁 내용
향명으로는 궁궁이라고 하며, 학명은 Cnidium officinale MAKINO이다. 중국산 식물로 우리나라에서 흔히 재배 되고 있는데, 높이는 30∼60㎝이고 곧추 자라며 가지가 갈라진다.
세 가지 천궁의 기원은 모두 미나리과에 속 한다.
2.천궁의종류
토천궁, 한반도에서 자라는 ,
일천궁, 일본에 들여온것
중국천궁:중국에서 자라는 것
우리나라에서는 토천궁보다 상대적으로 재배하기 쉽고 생산량이 많으며, 가공 시 손이 덜 가는 일천궁이 많이 재배되고 있다.
3.천궁의효능
‘천궁은 두통을 치료 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며, 그러므로 정수리와 뇌가 아플 때에는 모름지기 천궁을 써야 한다’고 되어있다.
1) 천궁은 혈액 순환을 활발 하게 하고 기의 순행을 잘되게 하여 두통, 어지럼증 등의 두부 질환에 많이 사용 된다. 아래로의 기운순환은 생리통, 생리불통 등에 사용되며, 사지와 흉복부로도 작용 하여 관절통이나 스트레스에 의한 근육통에도 효과가 뛰어 나다고 한다.
2) 약리학적으로 천궁은 휘발성 정유성분을 1~2% 함유 하고 있다. 정유는 중추신경계에 작용 하여 대뇌 활동을 억제 시키는 진정 작용을 하며, 카페인의 흥분 작용에 길항 하고, 관상동맥과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심근과 하지의 혈류량을 증가 시켜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한다.
3) 정유 성분 중 크니딜리드(cnidilide)등은 천궁의 고유한 냄새 성분으로 점막충혈 작용이 있어서 우리가 쉽게 천궁향을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
4) 페루릭산(ferulic acid)은 피부를 산화 작용의 손상 으로부터 보호 하고 염증을 줄이며 콜라겐의 파괴를 막아 피부 노화를 막아 준다. ‘동의보감’에 따르면‘천궁(궁궁)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라 한다.
5) 민간 에서는 뿌리와 싹을 모두 약으로 쓸 수 있다고 하였다. 천궁은 부인과 질환이나 두통에 효능이 있어 다용되는 약재로 알려졌지만, 실제 천궁의 가공법(수치제법:한약의 효능을 높이거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약재가공법)은 까다롭기 그지 없다.
6) 간장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 주고 빈혈에 복용 하면 조혈작 용으로 효험을 얻게 된다. 그리고 심장근육의 수축부전으로 인한 심장 부위의 통증에도 증상을 호전 시키고 있다. 허리와 다리의 골격이 약하고 근육에 경련을 자주 일으키는 사람이 복용 하면 그와 같은 증상이 개선 된다.
4.천궁 관리 및 번식법
관리법 : 약용식물로 재배 한다. 북방형식물로 서늘한 곳을 좋아 한다.
번식법 : 종자가 매우 적게 맺히므로 분주로 번식시키는 영양번식법이 일반적 이다. 이른 봄 새순이 돋아날 때 포기나누기를 한다.
5.적합한 기후조건, 재배 지역
1) 천궁을 재배할 경우 반드시 검토 해야 할 문제는 재배할 지역의 기후 조건이다. 천궁은 다른 작물과 달리 안정적 으로 재배할 수 있는 기후대가 매우 제한 되어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 30℃ 이상의 고온이 지속될 경우 극심한 생육 부진을 겪는데, 지상부가 말라 죽고 뿌리 줄기에서 새싹이 올라오는 것을 반복 하다 쭉정이만 남게 됩니다.
2) 천궁의 주요 생산지는 경북 영양·봉화, 충북 제천 등으로 전체 생산량의 80% 이상을 이 지역 에서 생산 하고 있습니다.
천궁의 재배 적지는 산간 또는 400m 내외의 준고랭지로 알려져 있는데, 천궁의 최대 주산지인 경북 영양 지역의 기온 조건을 기준 으로 할 경우 연평균 기온은 9~10℃, 생육기인 4~10월의 평균기온은 15~17℃를 적정 기후 조건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