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친환경 농산물 자조금 사업 추진 배경 및 전략 및 목표 수립
자조금 사업 추진계획
2023년 친환경농산물자조금 사업계획
사업 추진 배경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지속가능성 확보 필요
ᄋ 전 세계적 친환경농산물 생산 확대 추세에도 불구하고, 국내 친환경농산물생산 여건은 수년간 정체되고 있음.
ᄋ 특히 최근에 비의도적 오염 등으로 인한 친환경 인증취소가 지속적으로발생하고 있는바, 불가항력적인 농약검출 농가 보호(재심사 지원 등) 및 농약검사 위주 인증제 전환 필요.
□ 친환경농산물 소비의 뉴트렌드 활용 필요
ᄋ 건강 및 안전이 친환경농산물의 주된 구매 동기가 되고 있으며, 환경보호 등 가치소비를 확산시키기 위한 전략이 요구됨
- 건강과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짐에 따라 소비 트랜드에 부합하는유통경로다변화 요구.
- 온라인 판매 확대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이 요구
- 기존 학교급식 채널 외에 로컬푸드 등 각 구입 장소별로 마케팅 전략 다양화
□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친환경농업의 역할 중요
ᄋ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등으로 인한 국내외 경기침체속에서 지속가능한 농업과 식량주권이 강조되어야 함
ᄋESG의 가치 확산 상황에서, 친환경농산물이 그 중심에 있음을 널리 알릴 필요가 있음
ᄋ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농업에서 배출되는 탄소도 줄여야 하지만 토양탄소흡수를 위해서 친환경농업 육성 필수
□ 지자체와 연계하는 친환경 생산유통 수급 조절 도입 모색
ᄋ 수급관련 자조금단체에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려는 정책 흐름(생산자중심 생산·유통 자율 규제, 주산지 협의체 구성등)에 대응하여. 다품목인 친환경농산물자조금의 특성상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어려운 부분 존재함.
ᄋ 자조금을 중심으로 친환경 주산지와의 주산지 협의체 구성 등 다양한 거버넌스 운영을통한 협업이 요구됨
- 친환경농산물이 학교급식 시장을 중심으로 유통되는 만큼 지자체와의 생산
-유통 계획수립과 협력 필요.
□ 자조금 이중납부 문제 해결 등 자조금 제도 개선 추진
ᄋ 농산물 의무자조금이 18개 품목으로 확대되어 감에 따라 농민들의 자조금다중납부의 가능성이 커, 이에 대한 제도개선 필요 – 농수산자조금 법 개정 추진
- 친환경농산물자조금은 품목별자조금에 비해 소규모의 특성 고려
ᄋ 자조금 수납방식 변경(자조금관리위원회 직접 납부)으로 인한 자조금 거출 체계 안착화(지역협회 협력) 필요
ᄋ 자조금 거출 확대(생산에서 가공, 유통 영역까지 확대)
전략 및 목표목표
목표
ᄋ 탄소중립 등 환경을 강조하는 친환경농업의 가치홍보
ᄋ 친환경농산물 가격, 수급안정을 위한 판매 촉진
ᄋ 자조금 직접거출체계 안착화
전략
ᄋ 친환경농산물 가치홍보확대
ᄋ 친환경농산물 판매 촉진확대를 통한 자조금 인식제고
ᄋ 친환경농산물 영역확대(가공 등)
추진사업
판매 촉진 친환경 인증 위상 적립
∘홍보 및 광고
∘친환경농산물 판매촉진
-유기농데이(62day)
-대형유통사, 이커머스
-가공식품 활성화
-에코머니포인트활성화
∘박람회참가
∘(지역별)수급안정사업 지원
∘(지자체연계)수급안정 사업
농업인 지원
∘친환경농업인 교육
∘CSA 활성화
∘농산물안전성 관리사업
∘친환경농업 실용 연구
∘자조금 활동 안내
-문자 및 알림톡 서비스
-홈페이지 운영
친환경 인증 위상 적립
∘지구·식당 선정
∘에코프라이데이 운영
∘친환경 텃논 조성 및 운영
∘생물다양성대회
추진기반
∘자조금 직접거출 체계 정립(지역 협회와 협력)
∘자조금 납부 편리성 안내 및 영수증 우편발송
∘거출관리시스템 운영 및 기능개선
자조금 사업 추진계획
01 소비홍보
□ 친환경농업 가치확산을 위한 광고·홍보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cUydF5/btsp63R9u5L/VIIxPHlj4YlY86QdLoTTtk/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지구를 지키는 친환경농업과 친환경농산물의 ‘건강함’의 키워드 중심으로 ‘지구를 지키는 건강한 한입’ 메시지에 관한 생산자, 소비자들 각각 80%의 긍정적 결과 도출
- 소비자 대상 친환경농업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홍보하되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전략적 홍보 방안 실행으로 소비자를 당기는(pull) 마케팅 전략 실시
ᄋ 목표
- 친환경농업에 관한 가치확산 및 가치소비 인식 5% 제고를 위한 홍보 방안 마련
- 친환경농산물자조금 SNS에 관한 구독자 수 등 KPI(핵심성과지표) 설정
ᄋ 내용
- 친환경농업의 지속가능성과 가치 중심, 구매를 유도하는 홍보 메시지에 집중
- 예산을 고려하여 가장 합리적인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체 선택하여 집중
- 타겟을 설정하여 맞춤형 홍보 매체 선택과 콘텐츠 제작
□ 유기농데이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meBMb/btsp91ZZkx7/pvSfIpM9shSmcGnjsqkpZK/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대도시 대규모 친환경농산물 기획행사를 통해 6월 2일 유기농데이를 홍보하고 소비자 적극참여 유도,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하는 생상의 장 마련
ᄋ 목표- 유기데이 소비자참여 1만명, 농산물 1억원
ᄋ 추진방향 - 소비자생협 등 소비자 단체들과 함께 공동기획, 공동주관- SNS, 언론매체를 통해 홍보 극대화
□ 박람회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u0nDB/btsp0Cadh5d/XntyHlYxBByVHdwxeisiEk/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친환경농업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와 아이디어를 집약하여 소비자들의 시선을 멈추게 하는 전시구성과 생산자, 소비자의 만남을 통해 친환경농업에 관한 정보와 설명을 현장에서 소통하는 장을 마련
ᄋ 목표
- 친환경농산물자조금 SNS 1,000명 이상 구독자 수 증대
- 박람회 만족도 조사 이벤트 연계, 500명 이상 응답 목표
ᄋ 내용- 친환경농업이 탄소중립의 대안의 중심에 있다는 인식 제고를 위한 기획
- 주요 방문 관람객을 예측하고 분석하여 방문객의 시선과 머무를 수 있는 콘텐츠 구성
- 친환경농업의 가치와 오감을 느낄 수 있는 체험 중심의 콘텐츠 구성
□ 그린카드-에코포인트 활성화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MQPjY/btsp8bhJkbD/ZgiqfKPjIMHs8olsY1MBJK/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그린카드 제도는 신용카드 포인트 제도를 활용, 저탄소·친환경제품 구매 시 저탄소 소비·생활 실천 시 포인트를 지급하는 대국민 서비스임
-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산 및 농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친환경인증제도와 그린카드 제도를 연계한 업무협약 체결(‘17.2)
- ‘22년 자조금을 활용 포인트 적립률 조정(1.5%→5%)
ᄋ 내용
- 지급액을 상향((1.5%→15%)시켜 실익을 체감하고 친환경농산물 구매확대에 기여(22년(5%)→23년(10%)→24년(15%))
- 그린카드를 사용하여 친환경농산물을 구입시 포인트 제공
- 자조금 부담분 유통사에 지급- 홍보 및 수급사업과 연계하여 그린카드 인식제고, 사용자확산
- 인상된 포인트에 대응하여 예산 인상
02 수급안정
□ 친환경 유통 활성화(대형마트, TV홈쇼핑 등)
ᄋ 개요
ᄋ 목적 및 배경
-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친환경농산물을 구입하는 장소인 대형마트(농,수,축협 포함)를 통해 구매경험 확대, 소비촉진
ᄋ 목표- 사업기간 매출액 10억원, 매출신장 150%- 협력사 자체투자 유도
ᄋ 내용- 유통전문가 기획회의를 통해 사업방식 개선- 할인프로모션 지원 및 신규 아이디어를 통한 소비촉진- 홈쇼핑, 케이터링 등 유통 채널 다양화
□ 친환경 유통 활성화(이커머스)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d1dkoi/btsp7KdB9wT/q8Ix3JjYx5kJk13CWfajQK/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시장확대 가능성이 큰 이커머스 시장 지원으로 구매경험 확대, 소비촉진
ᄋ 목표
- 사업기간 매출액 5억원, 매출증대 150%
- 협력사 자체투자 유도
ᄋ 내용- 할인프로모션 지원 및 신규 아이디어를 통한 소비촉진
□ 친환경 가공식품 활성화(유통개선)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bd78uL/btsp1gSnVGj/6sCC64j11WoaKcEwIqH5n0/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식품 소비 성향 변화에 대응하여 친환경 원재료를 사용하는 가공식품 활성화로 친환경 농산물의 신규 시장 개척
ᄋ 목표
- 5개 기업 이상 협력 가공업체 발굴
- ‘지구를 지키는 농부’ 브랜드 사용하는 신제품 개발
ᄋ 내용
- 전문가 기획회의를 통해 지원방식 결정
- 신상품 개발, 내수·수출 판로개척 지원
□ 지구를 지키는 식당 선정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bupjAd/btsp1f6UE17/M03gixF7H0e5pm5Kgcxk80/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친환경 원재료 사용 모범 식당을 발굴하고 지원함으로써 친환경 농산물 지속적인 수급안정 도모, 지역 소비자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친환경 활성화 사업모델 창출
ᄋ 목표
- 지역별 대표식당 10개 선정, 지원
ᄋ 내용
- 지구를 지키는 식당 어워즈를 통해 대표적인 친환경 가치소비 식당으로의 발전가능성이 높은 곳 선정
- 지역협회를 통해 추천, 현장실사 등 심사 진행, 심사위원회를 통해 최종선정- 친환경 원재료비 등 지원
□ (지역별)수급안정 사업 지원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RvoDp/btsp8APeMG2/CdT4YdqkudUVsGkIjMcCF0/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산지별 특성에 맞는 수급안정사업 지원으로 수급안정 효과 증대
ᄋ 목표- 매출액 5억원 이상
ᄋ 내용
- 지역 친환경농업협회 및 친환경연합사업단을 통해 긴급 수급안정 필요 품목에적용
- 지역별 창의적인 사업계획 반영, 타당성 검토후 지원
수급 안정 적립금
□ (산지 지자체 연계) 수급안정 사업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cufvnW/btsp2iPTCQa/xyiaClr9RuF5DzeCbdKL0K/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자조금-산지조직-지자체 연계를 통해 신규 판로 개척, 수급안정
ᄋ 목표
- 지자체와의 공동사업으로 모범사례 창출
- 산지 농업인 조직 강화
ᄋ 내용
- 공동기획, 공동투자가 가능한 지자체 발굴
- 지역먹거리종합계획, 원예사업계획 등과 연계
□ 에코프라이데이 운영
ᄋ 개요
ᄋ 목적 및 배경
- 일주일에 한 번 이라도 친환경농산물을 소비하는 캠페인으로 공공기관, 지자체,대학교 등을 우선 적으로 친환경농산물 급식 확산을 지향하며 가정에서의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대를 통해 환경을 지키는 공익적 캠페인 추진
- 친환경 농산물의 공공급식 채널 확산
- 19년~20년 추진이 되었고, 14개 기관이 참여(‘20년)
ᄋ 목표
- 협력기관을 현행화하고 새롭게 캠페인을 추진
- 참여기관 확대(5개 이상)
- 참여하는 기관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방안 마련
ᄋ 내용
- 후속사업이 부족했던 기존의 방식을 개선하여, 홍보사업과 연계하고 필수적인 지원(홍보 및 원재료) 결합
□ 친환경농산물 인식 제고 협력사업(소비자단체 등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dib5ZW/btsp7UAprPK/t2TmXI5gyDMYkjd3EkctCk/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GAP , 저탄소인증 등 다양한 인증제도(마크)로 인해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업에 대해 혼동하고 있어 친환경농산물에 대해 올바로 알려줄 필요가 있음
ᄋ 목표
- 친환경농업 및 친환경농산물 가치 이해력 제고
ᄋ 내용
- 소비자단체 대상 간담회 - 소비자단체 대상 친환경농업 현장견학
03 유통구조개선
□ (소비자 단체와 함께하는) CSA 활성화
ᄋ 개요
ᄋ 목적 및 배경
- 농업인과 소비자의 사회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먹거리를 누가 생산했는지어떻게 생산했는지에 대한 과정의 누락, 과정의 누락으로 인한 농업인·소비자간의 불신 증가
- 품질이 좋고 가격이 합리적인 농산물을 구매하고 싶은 소비자 내가키운 농산물에대한 자부심을 느끼고 안정적인 소득이 필요한 농업인을 만족시키는 새로운방법이 필요
- 생산자와 소비자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친환경농산물 판로의 안정적인 확보와 친환경농업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더 나아가 농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유통 모델을 만들어 내고자 함
ᄋ 목표
- 기존 꾸러미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비자 단체와 함께 사업을 진행하여 CAS 참여 생산지 개소를 20~30여개 이상으로 확대하고 사업에 참여한 소비자가지속적을 농산물을 배송받을 수 있도록 소비자·농업인 계약을 진행
- 본 사업에 참여한 소비자에게 사업 참여 전·후 조사를 통해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 전환 효과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차년도 사업에 활용
ᄋ 내용
- 사업에 참여할 소비자 단체와 생산자 공동체 모집
- 지역별 CAS 기본교육 실시 및 프로그램 컨설팅
- 결과 보고를 기반으로 한 간담회(토론회) 진행
- 소비자 설문조사 및 분석- 관리위원회 홍보플랫폼을 활용한 홍보 진행
□ (지역협회·소비자 단체) 제3회 전국 생물다양성 대회
ᄋ 개요
ᄋ 목적 및 배경
- 1992년 리우의 지구정상회담에서 생물다양성이 곧 인류와 식량 안전, 의약품,대기, 수질, 거주지 및 우리가 살고있는 건강한 환경에 대해 필요한 것임을인식
- 농업 선진 국가에서는 소모적인 관행농업에서 벗어나 생태적 건강성, 경제적생존력, 사회정의를 중시하는 농업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
- 생물종의 감소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기 때문에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한활동은 지구를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활동으로 인간의 먹거리를 생산하고 생물을 보존하는 유기농업의 가치를 소비자와 공유
- 유기농업 현장의 생물다양성을 알리는 체험/교육/나눔 행사 등을 통해 친환경농업의 가치지향, 환경유지(보존), 생물다양성보전 등의 그 기능을 알리고, 소비자단체·생산자단체(친환경농업협회)·지역농업인과의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
ᄋ 목표
- 생물다양성 조사결과를 데이터·시각화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유기농업에 대한 홍보 자료로 활용
- 지역의 기업(유통사, 은행, 제조사 등)과 ESG경영과 관련된 업무 협약식 체결
- 유기농업의 논생물다양성 강화정책을 위한 토론회 개최
- 농경지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공감대 형성
ᄋ 내용
- 전문적인 생물다양성 조사기관(연구기관)과 협업을 진행하고 홍보를 위한 보고서를 작성(데이터화, 시각화 중심)
- 농경지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공감할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 운영- 소비자단체를 초청하여 유기농업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 각종 언론 및 매체를 활용한 대회 홍보 진행
04 경쟁력제고
□ 농산물 안전성 관리 사업(농약비산피해농가)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bP59Y4/btsp35vYqm6/vjAxkYviZqTuuQz8KRHgl1/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최근 항공방제 증가 등으로 비의도적 농약 검출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
-이와 관련 대처할 수 있는 매뉴얼 이해 등 교육이 필요함
- 비의도적 농약 검출 피해 생산농가 인증에대한 안전성관리 필요
* 22년 11월 농관원 각지원별 친환경민원상담 창구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데 민간차원의 가칭 상담센터 운영 필요.
ᄋ 목표
- 불가항력적 농약검출농가 보호 및 구제 제도 마련
ᄋ 내용
① 불가항력 인증취소 대응교육 등
- 비의도적 오염으로 인한 인증취소의 사례를 분석하고 대응방법을 교육
- 과정중심 인증제도와 유기농업의 가치 교육
② 가칭 비의도적 농약검출 인증취소 신고 센터 운영 추진
05 교육및정보제공
□ 자조금 납부안내 및 거출 홍보물 제작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vVeSE/btsp7TO2V9K/XcwKJTB7IomxZDRwXAp8W0/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23년부터 자조금 직접 거출에 따른 거출 홍보의 중요성 증대
- 자조금 납부안내서 발송 시 자조금 활동 소식지 동봉함으로 자조금 인식 개선 및 원활한 거출 독려
ᄋ 목표
- 개인인증과 단체인증에 대한 효율적 관리
- 정확한 인증정보에 따른 납부 안내와 영수 관리
- 농가에 거출 관련 민원 편의성 제공
ᄋ 내용
- 납부안내서와 영수증 발송 주기 단축
- 기존 인증기관 거출에 따른 자조금시스템 미입력 및 거출 불확실성 해소
- 가상계좌를 활용한 납부안내로 자조금시스템 입력 간소화
- 단체인증의 납부체계 관리
- 개인인증과 단체인증에 대한 차별적 거출관리
- 자조금 소식지 및 리플렛 활용한 자조금 인식 개선
- 거출관련 홍보물 제작 등
□ 문자 및 알림톡 서비스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bvTGzT/btsp8zv3G8h/9vyGe2guCVuzLZuE0jfSqk/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2022년 11월 말까지 문자 및 알림톡 발송 관련 소요 예산은 약 26백만원으로 전국 친환경농업인 대상 문자 발송량 대폭 증가와 자조금 직접거출에 따른 알림톡 활용 범위 대폭 확대
ᄋ 목표
- 친환경농업 및 친환경농산물자조금 업무 보고
- 온라인 홍보 및 행사 일정 통보 등
- 농가 대상 거출 관련 알림톡 발
ᄋ 내용
- 친환경농업 동향과 자조금 주요 업무 매월 정기 발송
- 온라인 홍보 및 행사 일정 통보 등
- 자조금 납부 관련 알림톡 수시 발송
- 매월 완납 농가에 영수증 알림톡 정기 발송
□ 친환경농업인교육(청년농업인교육, 작목별 기술교육)
ᄋ 개요
ᄋ 목적 및 배경
① 친환경 청년농업인 교육
- 청년농업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이 존재하지만, 친환경 청년농업인을 위한 교육은 부재함에 따라서 친환경 청년농업인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미래의 리더를 육성하여 친환경농업이 꾸준히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다짐
② 친환경농업 작물별 기술교육 : 친환경농업을 정착 및 확대하기 위해 작물별로친환경농업 토양 관리, 양분관리, 병해충 방제 등의 기술 개발 보급이 요구됨.분야별 전문 친환경농업 방제 기술 교육을 통해 친환경농가의 어려움을해소하고, 친환경농업 확대 발전에 기여
ᄋ 목표
① 친환경 청년농업인 교육
-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과 차별화된 교육으로써의 자리매김
- 관행농업에 종사하는 청년농업인의 교육 참여, 지속적인 관계 유지
② 친환경농업 작물별 기술교육 : 친환경농업 정착 및 확산. 분야별 전문 친환경농업 기술 교육을 통해 친환경농가의 어려움을해소하고, 친환경농업 확대 발전에 기여
ᄋ 내용
① 친환경 청년농업인 교육
- 청년농업인의 리더십 및 전문기술 교육
- 청년농업인연합회와 협업하여 세부 교육계획 수립
② 친환경농업 작물별 기술 교육
- 친환경농업 원리
- 친환경 토양 및 양분관리기술 (미생물활용 등)
- 친환경 병해충 방제 (자가제조)
□ 친환경 텃논 조성 및 운영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d7PDG5/btsp9qZUxQH/xV0w05Kav3uG6BYm9Tozt0/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체험을 통한 친환경농업의 중요성과 먹거리, 농업농촌의 소중함을 알리고 전파하기 위함
ᄋ 목표
- 학생들과 학부모의 관심도를 제고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도심속 논학교” 프로그램의 경우 학생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나 관심도는보통(충남연구원, 2016)
- 모내기 행사의 프로그램을 다양화 시키고 내실화하고 먹거리 교육과 연계하여 교육적인 측면 강화
- 사업 종료 이후 사업의 성과와 문제를 공유하기 위한 토론회 및 성과 발표회개최
ᄋ 내용
- 사업에 참여하는 대상을 명확히 하고 그에 알맞은 프로그램 개발
- 사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설명회/설명자료 배포하고 먹거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
- 교육기관에 모내기부터 수확까지 벼의 생육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생태 텃논을 조성
□ 자조금 거출관리시스템 운영 및 기능개선
ᄋ 개요
ᄋ 목적 및 배경
- 인증기관의 자조금 거출 중단(23년 1월 1일)에 따른 거출 환경 변화 대응
- 도(시), 군(구) 담당 공무원에게 자조금 거출시스템 접근권한 허용(23년 초)
- 변화된 상황에 맞는 시스템 최적화 및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거출시스템 유지관리로 사용자의 편의증진
-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예방 점검 및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조치 필요
- 친환경 농가의 납부 현황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 및 자조금 어플리케이션 운영에 대한 원활한 대응
ᄋ 목표
- 모든 도(시), 군(구) 친환경농업 담당 공무원에서 자조금 거출 시스템 접근권한 부여- 업무 효율성 및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으로 개편
- 휴먼에러를 분석하고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및 동시 접속자 50명 이상을 지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유지
- 자조금 어플리케이션 사용 농가에 편의성 제공
ᄋ 내용
- 체계적인 거출금 관리 방안제시
- 사용자에 따른 시스템 접근 권한 관리(도·군 공무원) 및 계정관리
- 직관적이며 사용자 중심의 UI 체계로 개편 및 기능개선· 검색 방법, 메시지 발송(자동,수동,거부), 데이터 이력관리·일괄수정, 리포트 양식(DM 라벨) 등
- 법(규정) 변경에 따른 요구사항 반영, 하자보수 지원, 사용자 교육훈련
- 그 외 자조금 거출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유지보수
□ 홈페이지 관리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cL3fRv/btsp0DAfEGD/GY9YYOhrxx7KSEGyXX8A41/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자조금 사업에 대한 친환경농업인의 관심 확대 및 증대에 따른 안정적인 서비스 관리 필요- 무중단(서비스다운)·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한 시스템 운영·유지보수 필요
- 정보공개의 확대, 웹 콘텐츠 개발 등 시의성 있는 홈페이지 서비스 개발 필요
ᄋ 목표
- 홈페이지 운영의 보안성 강화 및 웹 표준 준수 및 호환성 확대
- 콘텐츠 업데이트 및 관리를 통한 관리위원회 주요 사업의 홍보
- 홈페이지의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유지관리를 위한 지원체계 확립
ᄋ 내용
- 전문인력의 상시 대기로 홈페이지 모니터링, 장애 예방 및 신속한 처리
- 서버 등 각종 인프라에 대해서 관리위원회 사무국 담당자와 긴밀한 협조체계구축
- 보안 점검 및 웹 접근성·호환성 지침 준수
- 홈페이지 메인 및 서브 메뉴의 디자인 수정 및 운영상 발생하는 기능에 대한프로그램 개발
06 조사연구
□ (농업인과 함께하는)친환경농업 실용화 연구
ᄋ 개요
![](https://blog.kakaocdn.net/dn/bfWELk/btsp0DAfEYC/tbX3kXxLasexgkzgeBleDK/img.png)
ᄋ 목적 및 배경
- 친환경농업을 유지하면서 체득한 암묵적 지식을 명시적 지식으로 변환하여 많은 친환경농업인에게 전파하고자 함
- 친환경농업인과 연구기관(자)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의 연구사업으로 1개 과제당최대 1천만원을 지원하여 친환경농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적절하고 실용적인 기술들을 찾아내고 널리 알림
ᄋ 목표
- 2개 연구과제를 찾고 명시화하여 친환경농업인에게 배포
- 지속적인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하고, 친환경농업인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연구
가 될 수 있도록 관리 방안을 마련
ᄋ 내용
- 반드시, 친환경농업인 또는 단체가 본연구 사업에 참여해야 함
- 진행과정(연구과제의 공모및 심사 → 과제의 선정 → 연구 진행 → 평가 및 보완)- 연구의 과정·성과를 대의원회에서 직접 발표
'친환경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 복지란,개요, 동물 복지 축산 농장 인증제 (1) | 2023.09.30 |
---|---|
녹비 작물은 무엇 인가? 녹비 작물의 역활 (1) | 2023.08.13 |
공익 직불제란? 공익 기능 증진 직불제 (2) | 2023.01.31 |
지속 영농(Sustainable Farming)이란 무엇인가? (0) | 2023.01.31 |
비닐 하우스 지원 사업 (2) | 2023.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