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친환경농업

친환경 농축 산물 인증 제도

by 우리동네 기술자 2023. 1. 22.
반응형

친환경 농축산물 인증 제도

 

 

친환경 농축 산물 인증

 

친환경 농축 산물이란?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 하고, 토양 에서의 생물적 순환과 활동을 촉진 하며, 농업 생태계를 건강 하게 보전 하기 위하여 합성농약, 화학비료, 항생제 및 항균제 등 화학 자재를 사용 하지 아니 하거나 사용을 최소화한 건강한 환경 에서 생산한 농축산물

 

친환경 농축 산물 인증 제도란?

 

정부가 지정한 전문인증기관이 엄격한 기준으로 선별·검사하여 화학 자재를 사용 하지 아니하 거나 사용을 최소화한 건강한 환경에서 생산한 농축 산물임을 인증 해주는 제도

친환경 농축 산 물의 종류 및 인증 표시 도형

생산방법과 사용자재 등에 따라 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무농약농산물로 분류

 

관련 법령

 

친환경 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친환경 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친환경 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유기식품  및 무농약농산물 등의 인증에 관한 세부실시 요령(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고시)

유기식품 및 무농약농산물 등의 인증기관 지정·운영 요령(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고시)

 

인증 신청

 

신청 방법

 

구비 서류를 갖추어 인증기관에 인증신청을 하면 인증기관에서 서류심사와 현장심사를 거쳐 기준에 적합한 경우 인증서를 교부하고 인증관리를 실시

 

인증 신청서(생산자용)

인증 신청서(제조가공 취급자용)

인증 품생산계획서(농산물용)

인증 품생산계획서(유기축산물용)

인증 품생산계획서(유기양봉 산물등)

인증 품 제조·가공 및 취급계획서

경영 관련 자료(필수 항목)

사업장의 경계면을 표시한 지도

생산, 제조·가공, 취급에 관련된 작업장의 구조와 용도를 적은 도면(작업장이 있는 경우만 해당)

 

인증수수료 : 신청비 + 인증심사원의 출장비 + 심사관리비

 

 

 

인증 기준

 

유기 식품 등의 생산, 제조·가공 또는 취급에 필요한 인증 기준

무농약농산물·무농약 원료 가공식품의 생산, 제조·가공 또는 취급에 필요한 인증 기준

허용 물질의 종류

 

인증 기관 지정

 

인증 기관

 

친환경 농산물의 인증에 필요한 인력과 시설을 갖춘 전문기관으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인증기관으로 지정받아

친환경 농산물 인증 업무 수행

인증 기관 지정 기준

인증 기관 지정 현황

 

유기 가공 식품 인증

 

목적

유기 표시의 신뢰도를 높여 소비자를 보호하고 고품질의 유기식품 공급을 장려

 

인증 체계

 

가공 식품을 유기로 표시하거나 판매 하고자 하는 자는 국립 농산물 품질 관리원에서 지정한 인증 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함

국산 또는 외국산 유기 원료를 사용 하여 국내에서  유기 가공 식품을 제조 및 가공하고자 하는 자

국내 판매를 목적으로 국산 또는 외국산 유기 원료를 사용 하여 외국 에서 유기 가공식 품을 제조 하고자 하는 자

* 유기원료 : 친환경법에 따라 인증 또는 동등성 인정된 국내·외 유기농산물 또는 유기가공식품

 

유기 가공 식품 동등성 인정

 

-외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기식품 인증제도가 우리나라와 같은 수준의 원칙과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인증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검증되면, 양국의 정부가 상호주의 원칙을 적용하여 상대국의 유기가공식품 인증이 자국과 동등하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것

-, 동등성 인정 협정 체결 상대국에서 생산된 유기가공식품은 자국의 인증을 받은 것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어 별도의 추가 인증 절차 없이 유기가공식품으로 표시·수입이 가능

-동등성 인정 협정이 체결되면 농림축산식품부 및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홈페이지에 동등성 인정 국가명, 인정범위, 유효기간, 제한조건 등을 게시함

--미 유기가공식품 동등성인정 협정

--EU 유기가공식품 동등성인정 협정

 

 

 

인증 사후 관리

 

생산 과정 및 유통 과정 조사

 

-1회 이상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및 인증기관에서 인증사업자의 농장소재지, 작업장, 판매장 등을 조사

-조사내용

경영관련 자료의 기록 여부

인증품의 출하 내역 확인

인증품의 표시사항 적정 여부

금지물질의 구입, 보관 및 사용 여부

항목별 인증기준의 준수 여부

인증심사 시 제출한 이행계획서의 실행 여부

제조·가공자 및 취급자의 경우 원료 농산물 또는 축산물의 표본을 선정하여 생산자가 실제 출하하였는지 여부

인증품의 구매내역 및 판매내역이 일치하는지 여부

인증이 취소된 인증품, 표시사용정지 중인 인증품이 유통되는지 여부

인증품이 아닌 제품을 인증품으로 표시·광고하거나 인증품에 인증품이 아닌 제품을 혼합하여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보관·운반 또는 진열하는지 여부

 

인증의  갱신

 

매년 유효기간이 끝나는 날의 2개월 전까지 인증기관의 장에게 인증갱신 신청서를 제출

인증의 갱신을 위한 심사 및 승인절차는 신규 신청에 준하여 실시

 

인증의 변경

 

인증품목 변경, 사업 규모 축소, 사업자의 주소, 업체명 또는 인증 부가조건 변경과 같은 사유가 발생한 때에 변경승인 신청서를 인증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함

변경된 사항에 대해서 심사를 실시(사업장 규모의 축소, 사업자의 주소 또는 업체명 변경 등 현장심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생략 가능)

 

인증의 승계

 

인증사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자는 인증심사를 한 인증기관의 장에게 그 사실을 신고하여야 함

인증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그 인증제품을 계속 생산 하려는 상속인

인증사업자가 그 사업을 양도한 경우 그 양수인

인증사업자가 합병한 후 존속하는 법인 이나 합병 으로 설립 되는 법인

 

인증 취소, 인증표시의 제거 또는 정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을 받은 경우

인증기준에 맞지 아니한 경우

정당한 사유없이 처분 등의 명령을 따르지 아니한 경우

전업, 폐업 등의 사유로 인증품을 생산 하기 어렵다고 인정 하는 경우

 

위반행위별 과태료의 부과기준

위반 행위 및 횟수에 따라 10만원~500만원의 과태료 부과

 

 

 

 

 

 
반응형

댓글